본문 바로가기

개인생각

흙수저는 애를 낳지 말아야 하는 이유

반응형

넷상에서 찬반논란이 분분한 주제다.

가난한데 애를 왜 싸지르냐 vs

얼만큼 돈이 있어야 애를 낳느냐. 돈보단 사랑이 중요하다 

라며 의견이 분분하다.

 

흙수저는 왜 애를 낳지 말아야 할까.

 

아이가 태어나면

그대는 

한 사람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

조력자이자 나침반 같은 존재가 된다.

 

모든 부모는 자기 자식이

자기보다 더 잘되기를 바라고 

어떠한 형태로든 자식을 사랑하는

마음은 가지고 있다.

(물론 자기 감정쓰레기통처럼 쓰는 거지같은 

부모도 존재한다)

 

하지만 대부분 흙수저들은 

자기 인생도 똑바로 못사는 경우가 태반이다.

 

인정할 건 인정하자.

흙수저들이 막말로 열심히 공부를 했나.

똑똑하기를 했나.

물려받을 돈이 있나.

자기객관화가 되어있나.

(물론 돈이 다는 아니고. 월 200을 벌어도 

알뜰하게 살며 똑부러진 흙수저들도 소수 있겠지)

 

흙수저들 루틴이 

하루종일 일하느라 or 집안일+육아시달림으로 

피곤에 쩔어서 

대충 돌보게 되거나 예민함을 아이에게

표출하게 된다.

 

힘듬을 아이에게 실컷 토로하고는 

아차 싶어서 미안하고 안쓰러운 마음에

잠깐 애 부둥부둥 예뻐해주고 

다시 아이에게 까칠함을 표출하고를

무한반복.

 

이 과정속에서 아이는 변덕스러운 부모의

양육태도에 혼란스러워지고 

불안감이 높아진다.

성격 나빠지는 건 덤이고

 

이렇게 큰 아이가 이제 중학교, 고등학교 

들어간다 치자.

 

흙수저 부모들 사교육 비용 감당할 수 있나?

 

아니 그 사교육 비용을 감당하기 이전에

자기 자식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줄 아는가?

 

애는 동태눈깔에 자기가 지금

하고 있는 게 뭔지도 모르고 

왜 해야 하는지 모르는 애를 

 

학생이 공부를 잘해야지! 하고 윽박지르며

학원에 아이를 몰아붙이는 부모들.

 

이런 부모들을 보면 한심하다.

자기 자식이 뭘 원하고 

뭘 잘하는지를 파악하고 

효율적인 길을 인도해줘야 하는데

 

그저 남들이 다 하니까.

남들과 다른 길을 가면 실패하니까 

안전한 길을 걷겠다는 핑계로 

트렌드를 못읽고 학원에 

용돈주는 호구만 된다.

 

이제 이 자녀들이 대학을 간다.

이름없는 지잡대에 몇 천만원 쏟아부어 

사회에 나왔을 땐 잉여인력이 될 뿐이다.

 

부모가 나침반 역할을 못해줘서

결국 사회에서 빌빌거리며 하위계층에

머물게 되었는데

 

부모들은 노오력이 부족하다고 

니가 열심히 안해서라고 말한다.

 

과연 그럴까?

아무리 좋은 재료도 누가 만드느냐에 따라 

훌륭한 음식이 될 수 있고 

쓰레기가 될 수 있다.

 

흙수저들은

자기 살기도 바쁜 처지인데

남 프로듀싱을 어떻게 해줄 것인가?

 

아이를 키울 때 

아이를 한 인격으로 존중해주고 

사회의 일원으로 키우려는 책임감+

효율적인 프로듀싱 능력이 필요하다.

 

금수저는 저기서 인격이 모자라도 

돈을 이용해서

애가 멍청하고 성격나빠도

먹고살 수 있게 효율적인 프로듀싱이라도 

가능하지.

 

흙수저들은 애를 사랑하는 마음만 있지.

그걸 좋은 방향으로 끌어내는 능력치가 떨어진다.

(사람다운 사람으로 만들어내면 다행이다)

 

요즘처럼 SNS가 활발해

빈부격차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세상에

 

자녀에게

세상에 빈부격차는 당연한 것이고 

이게 니 현실이니 받아들여라 라고 

말할 수 있는가?

 

이렇게 말해도 낳을 사람은 낳을거고 

흙수저 무시하지마라! 

나는 행복한데 내 행복을 매도하지 마라! 하고 

찔려서 광광거릴 사람도 있을 것이다.

 

어쩌겠나. 지금도 계층이동 사다리 걷어차고 

계층 굳히기 한창인데

 

하위계층에 머물며 

나라에서 제공하는 복지만 바라보며 살아야지.

 

 

반응형